
아침에 눈을 떠서 이 닦으러 화장실에 간다. 간단한 세안과 양치를 하면서 거울에 비친 내 얼굴을 본다.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표정이 많이 없어진 것 같다. 그냥 무표정이라고 할까. 아무 감정을 느끼지 않는 로봇처럼 얼굴이 딱딱하게 굳어버렸다. 생각해보면 이곳에서 하루에 말을 크게 많이 하는 경우는 없는 것 같다. 6인실에 있으면서 다른 환자들과 보호자들끼리는 서로 대화도 하고 시끌벅적한데 나는 그러질 못한다. 대부분 다 어르신들이고 굳이 그들과 섞여서 대화를 하고 싶지 않아서이다. 그래도 한 가지 고마운건 친구들이 주말마다 한 번씩 면회를 온다는 것이다. 코로나 바이러스가 심해져서 면회는 일절 금지이지만 병실 안까지는 안 들어오고 건물 내에서는 만날 수 있다. 친구들과 만나는 시간은 나의 일주일 중 가..

벌써 한 해가 지나가는 시간이 다가왔다. 병원에 있으면서 참 안 갈 것만 같았던 시간들이 생각보다 엄청 빠른 속도로 지나간 듯하다. 나는 지난 일 년 동안 무엇을 생각하며 어떻게 행동했을까? 참 다사다난했건 한해였다. 그냥 단순하게 다리가 뻣뻣해진 게 피곤해서 그런 거겠지 했던 생각들이 떠오른다. 사실 그것은 내 몸에 대한 일종의 경고신호였을지도 모른다. 26살부터 시작했던 나의 재활치료도 어느덧 27살이 지나 28살을 향해 가고있다. 어쩌면 한없이 추락할 수 있었던 내 마음과 생각들이 잘 버텨내 준 것 같아 고마웠다. 이렇게 오랫동안 병과 싸운 것을 상상이나 했을까. 나에게 벌어지는 일들을 떠올려보니 사람 인생은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것 같다. 겉으로 티내진 않지만 지나가는 사람들의 걸음걸이를 쳐다..

'나를 소중하게 대할 줄 알아야 남을 소중하게 대할 수 있다' 책에서 본 글귀가 떠올랐다. 우린 살면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그 속에서 다양한 관계와 감정을 느낀다. 친밀감, 사랑, 배신 등으로 뭉친 것들이 우리를 마주치게 한다. 20살 땐 그런 것들을 모르고 있었다. 그저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길 좋아했고 그렇게 지나가는 시간들이 재미있었다. 피해 주는 것도 싫어하고 피해받는 것도 싫어했던 나는 쉽게 상처도 받았다. 모두가 나를 좋아해 줄 순 없지만 나를 싫어했던 사람들에겐 어떻게 해야 할 줄 몰랐다. 먼저 사과하기엔 자존심 상했고 제대로 된 얘기한 적도 없었다. 남의 감정 하나하나 살피기엔 너무 신경이 많이 쓰였고 한번 틀어진 관계나 사건에 대해서 오랫동안 머릿속에서 나를 괴롭혔다. 왜 그땐 나를 소..

아주 오래전부터 뜨거운 찬반 논쟁으로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한 숙제가 있다. 바로 인간의 '본성'이다. 나는 고등학생 때 문과를 들어갔다. 계산하는 것보단 이해하고 깨닫는 것이 좋아서 이과가 아닌 문과로 갔다. 윤리를 공부하면서 아직도 기억에 남는 인물들이 있는데 바로 '맹자'와 '순자'이다. 아마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. 인간의 본성은 본래부터 선하다는 '성선설'과 반대인 본성은 태어날 때부터 악하다 라는 '성악설'이다.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하거나 생각을 할 때 선과 악의 저울대에 오른다. 머리로는 나쁜 것임을 알지만 행동은 그렇지 못할 때가 있을 것이다. 예를 들자면 사람들이 없는 금연구역에서 나 하나쯤은 피워도 괜찮겠지 하면서 고민을 하다가 결국 담배를 입에 무는 것이 예가 될 수 있다. 오늘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마음가짐
- 희망
- 의지
- 척수종양
- 노력
- 척추
- 용기
- 행복
- 하반신마비
- 물리치료
- 재활일지
- 다시
- 척수손상
- 재활치료
- 화이팅
- 믿음
- 나를
- 병원생활
- 소중함
- 하지마비
- 재활
- 국립재활원
- 나에게
- 사지마비
- 마음을
- 할수있다
- 자신감
- 재활운동
- 포기하지말자
- 회복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